우나 (독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나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루르 지역의 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 소금 무역로와 가깝고 도르트문트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며, 베스트팔리아어와 루르포트 방언을 사용한다. 우나는 국제 빛 예술 센터(CILA)가 있는 도시로, 역사적으로는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으며, 19세기 산업화 이후 중공업과 수공업이 발달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우나역과 도르트문트 공항이 있으며, 주변 도시와 고속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슈톨베르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슈톨베르크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있는 도시로, 과거 황동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콘터간 생산 문제와 환경 오염, 극우 단체 활동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클레베
클레베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강 근처에 있으며, 과거 클레베 공국의 수도였고, 슈바넨부르크 성을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볼거리가 많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고, 현재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이 시의회를 주도한다.
우나 (독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Unna |
국가 | 독일 |
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행정 구역 | 아른스베르크 |
군 | 운나 군 |
면적 | 88.52 |
인구 (명) | 59423, 59425, 59427 |
우편 번호 | 02303, 02308 |
지역 번호 | UN, LH, LÜN |
차량 번호판 | 05 9 78 036 |
지방 자치체 코드 | 라트하우스플라츠 1 59423 Unna |
시청 주소 | www.unna.de |
공식 웹사이트 | 디르크 비간트 |
시장 | CDU |
소속 정당 | 2020–25 |
임기 | 142 |
2. 지리
우나는 고대 소금 무역로인 베스트팔렌 헬베크에 위치해 있으며, 런던에서부터 한자 동맹 시대의 무역이 이루어졌다. 이 도시는 루르 지역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도르트문트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져 있다. 우나는 도르트문트 및 인근 도시에서 일하는 많은 통근자들이 거주하는 베드타운 역할을 한다. 독일어의 방언으로는 베스트팔리아어와 루르포트가 있다. 자우어란트 휴양 지역이 근처에 있다. 루르 강은 루르 지역의 주요 부분을 통과하기 전에 프뢰덴베르크를 지나 우나 바로 남쪽으로 흐른다.
우나는 도르트문트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루르 지방 동쪽 끝자락인 베스트팔리셔 헤르베크(즉, 헤르베크-베르데)의 루르강과 리페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 시역(市域)은 구릉지를 포함하며, 해발 65m(아펠더 바흐)에서 225m(헴멜더 쉘크)에 이른다.
우나는 다음과 같은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 우나 (시내)
- 쾨니히스본
- 마센
- 아페르데
- 빌머리히
- 케세뷔렌
- 뮐하우젠 및 율첸
- 뤼너른 및 슈토쿰
- 헴머데, 베스트헴머데 및 지딩하우젠
마센과 쾨니히스본은 이전의 산업 및 광업 지역이며, 다른 지구는 더 전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루르 지방에서 헬베크-뵈르데로의 전환 지역에 위치한 우나의 지형은 그 도시 구조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시의 중심부는 혼합형 주택지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의 쾨니히스보른으로의 전환 지역, 동쪽의 모르겐 거리 지역 및 남쪽의 녹지로 둘러싸인 보르네캄프에는 대규모 집합 주택과 저택이 세워져 있으며, 대규모 집합 주택지는 주로 남서쪽 끝 지역에 위치해 있다.
마센 지구 및 북부의 쾨니히스보른 지구는 루르 지방의 인구 집중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쾨니히스보른에는 수많은 광산 취락이 있으며, 중심부는 혼합형 주택, 남부는 대규모 고층 주택과 많은 단독 주택이 존재한다는 불균일한 취락 구조를 보여준다.
이에 반해 북서쪽의 아펠데와 북쪽의 알테 하이데는 시골 풍경을 보여준다. 동부의 헬베크 마을인 율첸, 뮐하우젠, 뤼넬른, 슈토쿰, 베스트헤멜데, 헤멜데는 시 중심의 동쪽, 베를과의 시 경계까지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시골의 모습을 보여준다. 남부 지구의 빌메리히와 케세뷔렌 및 남동부의 지딩하우젠 역시 시골의 특성이 강하다.
2. 1. 행정 구역
우나는 다음과 같은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우나 (시내)
- 쾨니히스본
- 마센
- 아페르데
- 빌머리히
- 케세뷔렌
- 뮐하우젠 및 율첸
- 뤼너른 및 슈토쿰
- 헴머데, 베스트헴머데 및 지딩하우젠
마센과 쾨니히스본은 이전의 산업 및 광업 지역이며, 다른 지구는 더 전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루르 지방에서 헬베크-뵈르데로의 전환 지역에 위치한 우나의 지형은 그 도시 구조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시의 중심부는 혼합형 주택지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의 쾨니히스보른으로의 전환 지역, 동쪽의 모르겐 거리 지역 및 남쪽의 녹지로 둘러싸인 보르네캄프에는 대규모 집합 주택과 저택이 세워져 있으며, 대규모 집합 주택지는 주로 남서쪽 끝 지역에 위치해 있다.
마센 지구 및 북부의 쾨니히스보른 지구는 루르 지방의 인구 집중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쾨니히스보른에는 수많은 광산 취락이 있으며, 중심부는 혼합형 주택, 남부는 대규모 고층 주택과 많은 단독 주택이 존재한다는 불균일한 취락 구조를 보여준다.
이에 반해 북서쪽의 아펠데와 북쪽의 알테 하이데는 시골 풍경을 보여준다. 동부의 헬베크 마을인 율첸, 뮐하우젠, 뤼넬른, 슈토쿰, 베스트헤멜데, 헤멜데는 시 중심의 동쪽, 베를과의 시 경계까지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시골의 모습을 보여준다. 남부 지구의 빌메리히와 케세뷔렌 및 남동부의 지딩하우젠 역시 시골의 특성이 강하다.
3. 역사
전후 우나는 1950년 1월 1일까지 약 2,260명의 난민과 추방된 사람들을 수용했다.[26] 프로이센 왕국의 소멸 후, 우나는 1947년에 새롭게 창설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일부가 되었다.[26] 과거 SS 병영은 1956년 4월까지 벨기에 군의 병영으로 이용되었다.[26] 그 후 연방 국경 경비대 에슈베게 부대가 이곳에 입주했다.[26] 우나는 1956년에 처음으로 인구 3만 명을 넘어섰다.
1960년대 루르 지방의 구조적 위기 당시 갱도 시설이 폐쇄되면서, 채광을 주된 발전은 종결되었다.[26] 이후 이 도시는 서비스업 중심지로 변화해 갔다. 도시의 오래된 부분에는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지어진 많은 목조 건물들이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적인 개발을 위해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많은 건물들이 복원되었다.
3. 1. 중세 시대
우나가 위치한 지역의 인류 정착 역사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 시대에 우나는 헬베크의 중요한 경유지로서 그 중요성을 얻었다. 1032년 8월 6일 쾰른 대주교 필그림의 교회 문헌에서 처음 이름이 기록되었다.[2] 1200년경, 알테나-이젠베르크 백작 알테나-이제르베르크 백 프리드리히는 다른 영지와 함께 우나의 봉토를 쾰른 대주교 선제후국으로부터 받았다. 그 후 수백 년 동안 이 도시는 여러 차례 격렬한 전투를 겪었고 여러 번 불탔다.[2] 1264년에 대주교 군대가 우나를 공격하여 불태웠으나 같은 장소에 재건되었다. 1288년 보링겐 전투로 쾰른의 지배에서 벗어난 후, 우나는 마르크 백작으로부터 도시 권한, 시장 개최 권한, 하급 재판을 개최할 권리를 받았다. 가장 오래된 도시의 인장과 의회에 관한 첫 번째 기록은 1290년의 것이다.[2] 1303년과 1308년에 도시가 불탔지만 재건될 때마다 확장되었고, 1324년에는 쾰른 대주교 군대를 격퇴했다.14세기에 이 도시는 부유해졌다. 1347년부터 메르크 백작은 우나에서 화폐를 주조했고, 지역 무역이 번성했다. 1952년(혹은 1954년) 발굴 작업 중 약 70개의 금화가 발견되었는데, 이 금화들은 독일, 잉글랜드, 프랑스, 보헤미아, 헝가리 등 다양한 국가에서 유래되었으며 1375년경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2] 1389년부터 현재 쾨니히스보른 지역에서 염천이 발견되어 식염이 만들어졌다. 중세 후기에 이 도시는 잦은 화재와 전쟁 (1419년 메르크 형제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15세기부터 장인과 상인이 길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15세기 중반부터 이 도시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한자동맹의 일원이었다. 1469년부터 1518년까지, 그리고 1540년에 다시 우나는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우나는 1549년에 함과 함께 한자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2]
3. 2. 근세 이후
중세 시대에 헬베크의 중요한 경유지였던 우나는 1032년 교회 문헌에서 처음 이름이 기록되었다.[2] 1200년경 알테나-이젠베르크 백작 프리드리히는 우나의 봉토를 쾰른 대주교 선제후국으로부터 받았다.[2] 이후 수백 년 동안 도시는 여러 차례 전투를 겪었고, 14세기에는 부유해져 조폐창이 설립되고 지역 무역이 번성했다.[2] 1952년 발굴된 70여 개의 금화는 1375년경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2]15세기 중반부터 우나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한자동맹의 일원이었다.[2] 그러나 한자동맹의 쇠퇴, 종교 개혁으로 인한 사회 분열, 전쟁과 역병으로 인해 16세기 말 경제적 번영은 종식되었다.[14] 1597년에는 페스트로 인해 주민의 절반 이상을 잃었고,[2] 팔십 년 전쟁 당시 1598년과 1604년에는 스페인 군이 우나를 점령했다.[13] 1609년 클레베 공작 요한 빌헬름 사후 마르크 백작령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과 팔츠 백작에게 넘어갔으나, 1614년 동맹이 파기되었다.[13] 1614년 네덜란드 군이 우나를 점령했지만, 1615년 페스트 유행으로 철수했다.[13] 30년 전쟁 동안 우나는 여러 번 포위되고 주둔하며 군비를 징수당했다.[13] 네덜란드군(1622년, 1641년), 스페인군과 이탈리아군(1622년/1623년), 황제군(1628년), (1628년), 스웨덴군(1633년/1634년), 헤센군(1634년), 뤼네부르크군(1635년), 황제군(1636년/1641년) 등이 우나를 거쳐갔다.[13] 1649년 4월 4일에는 지진으로 많은 가옥이 파괴되었다.[13] 30년 전쟁 이전 우나는 매년 4,000제국 탈러의 수입이 있었지만, 전쟁 동안 모든 토지를 잃고 30,000탈러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14]
1666년 우나는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이 되었고, 이후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3] 1756년까지 마르크 백작령에서 징집된 보병 연대가 주둔했다.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중 1673년 튀렌 장군이 이 도시를 공격하여 가옥의 54%가 파괴되었다.[15] 1678년과 1723년에는 화재가 발생했다. 7년 전쟁 동안 우나는 다시 전투, 숙영, 행군을 견뎌야 했지만, 이전 전쟁에 비해 피해는 적었다.[16] 1761년까지 인플레이션이 3배 증가했고, 1763년에는 연간 145%로 안정되었다.[18] 18세기 동안 인구 증가는 미미했고, 교역은 정체되었으며, 공장 진출은 물 부족으로 실패했다.[19]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이주민들이 우나에 영향을 미쳤다.[20]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산업화와 암트(지방 행정 기관) 소재지가 되면서 중요성을 회복했다. 1734년 프로이센 정부는 "쾨니히스보른 제염소"를 설립했고, 이는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중요한 제염소가 되었다.[2] 1799년에는 프로이센 서부 최초로 증기 기관이 설치되어 소금물을 퍼 올렸다. 1752년 카멘으로 가는 도로가 확장되었고, 1780년부터 1801년까지 루르 강 상류를 선박이 항해할 수 있게 되었다.[2] 1817년 헬베크가 확장되었고, 1855년 베르기슈-메르키셰 철도 노선망에 연결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마르크 백작령이 프로이센에서 분리된 후, 우나는 1808년 베르크 대공국에 편입되어 무니치팔리테트(지방 행정 단위)의 수부가 되었다.[2] 1809년 우나의 카타리넨 수도원이 폐쇄되었다. 1813년 프로이센이 다시 개입하여 프랑스식 지방 행정 조직을 유지했지만, 1917년 함 군이 형성되었다.[2] 1831년 개정된 도시법 수용으로 1837년 우나는 시골 마을에서 벗어났다. 1844년 암트 우나는 암트 카멘과 통합되어 암트 우나-카멘이 되었다.[2]

산업화는 1870년 마센, 빌메리히, 링게브라우크, 쾨니히스보른의 석탄 채굴이 시작되면서 시작되었다.[2] 채굴 하청 업체, 기계 제조 및 금속 가공 공장, 벽돌 공장, 양조장이 생겨났다. 1860년 시의 가스 공장이 설립되었고, 1887년/1888년 루르 정수장이 건설되었다.[2] 19세기 초 쾨니히스보른 지역은 광천을 갖춘 건강 휴양지로 두각을 나타냈다. 2013년 지질 조사 결과, 이 광천은 여전히 건강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1920년 봄 루르 적군이 우나를 잠시 점령했다.[2] 1927년 함 군의 군 행정 기관을 우나 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고, 1930년 실행되었다.[2] 1930년 10월 17일 함 군은 우나 군으로 개명되었다.
나치 시대, 1934년 우나에 친위대 퓌러슐레(학교)가 설치되었고, 곧 병영으로 개조되었다.[2] 1937년 카메너 거리에 장갑 부대를 위한 무기고가 설치되었다. 1933년 156명의 유대인 커뮤니티가 있었지만, 1943년까지 이주 또는 이송되었다.[21] 우나에서 142명의 유대인이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 벨제츠 강제 수용소,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등에서 나치의 희생자가 되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 남성은 징집되었고, 프랑스인, 폴란드인, 동남유럽인, 소련인이 강제 노동을 강요받았다.[22] 1944년 주민 12명 중 1명이 강제 노동자였으며, 절반은 농업, 나머지는 광산, 철도, 방공 시설 등에 종사했다.[22] 강제 노동 상황은 긴 노동 시간, 적은 보수, 열악한 식사, 열악한 취급을 특징으로 한다.[22] 1943년 시 행정 보고서는 "도주하여 연락이 두절된 외국인" 416명을 게슈타포에 인도했다고 기술한다.[22]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45년에는 대규모 공습이 있었다.[2] 1944년 9월 19일 첫 대규모 공격 이후, 1945년 2월 16일, 28일, 3월 5일, 23일에 대규모 공격이 있었다.[23] 마지막 공습은 철도 시설과 황동 공장을 목표로 했고, 15분 만에 113명의 사망자를 냈다.[23] 전쟁 마지막 101일 동안 17차례 공격으로 174명이 사망하고 1200채 이상의 가옥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24] 1945년 4월 11일 미국 제95보병사단이 침공하여 "루르 포위망"을 형성했다.[25]
전후 우나는 1950년 1월 1일까지 약 2,260명의 난민과 추방된 사람들을 수용했다. 1947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일부가 되었다. 과거 SS 병영은 1956년 4월까지 벨기에 군의 병영으로 이용되었고, 이후 연방 국경 경비대 에슈베게 부대가 입주했다. 1956년 우나는 인구 3만 명을 넘어섰다.
1960년대 루르 지방의 구조적 위기 당시 갱도 시설이 폐쇄되면서 채광을 주된 발전은 종결되었다. 이후 이 도시는 서비스업 중심지로 변화해 갔다. 도시의 오래된 부분에는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지어진 많은 목조 건물들이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적인 개발을 위해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많은 건물들이 복원되었다.
3. 3.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시대, 1934년에 우나에 친위대 퓌러슐레(학교)가 설치되었고, 그 후 곧 병영으로 개조되었다.[21] 1937년 카메너 거리에 장갑 부대를 위한 무기고가 설치되었다.[21] 이 도시에는 1933년 시점에서 156명의 유대인 커뮤니티가 있었지만, 1943년까지 이주 또는 이송되었다.[21] 우나에서 142명의 유대인이, 예를 들어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 벨제츠 강제 수용소,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등에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나치의 공포 통치의 희생자가 되었다.[21]제2차 세계 대전 중 남성은 징집되었고, 프랑스인, 폴란드인, 동남유럽인, 소비에트 연방인이 강제 노동을 강요받았다.[22] 소비에트 연방 출신의 이른바 "오스트아르바이터"(직역: 동방 노동자)가 최하층에 놓였다.[22] 그 수는 1944년에는 1,790명에 달했다. 이는 주민 12명 중 1명이 강제 노동자였음을 의미하며, 그 절반이 농업에, 나머지는 광산, 광업, 철도, 방공 시설, 사저 건설에 종사했다.[22] 그들은 일부는 농장에, 일부(특히 "오스트아르바이터"와 폴란드인)는 감시가 있는 막사에 수용되었다.[22] 강제 노동의 상황은 긴 노동 시간, 적은 보수, 초라한 식사, 열악한 취급을 특징으로 한다.[22] 1943년 시의 행정 보고서는 체포하여 게슈타포에 인도한 "도주하여 연락이 두절된 외국인" 416명을 기술하고 있다. 이는 당시 강제 노동자 1,133명의 1/3 이상에 해당한다.[22]
전쟁 말 2년 동안 우나에 여러 차례 공습이 가해졌다. 이는 주로 무기고가 군사적으로 중요하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이지만, 도시에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23] 최초의 대규모 공격은 1944년 9월 19일이었고, 1945년 2월 16일과 28일, 3월 5일과 23일에도 대규모 공격이 가해졌다.[23] 마지막 공습은 철도 시설과 황동 공장을 목표로 한 것으로, 단 15분 만에 113명의 사망자를 냈다.[23] 전쟁 마지막 101일(1945년 1월 1일부터 4월 11일) 동안 17차례의 공격이 있었고, 174명이 사망했으며, 1200채 이상의 가옥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24] 전선이 가까워지면서 우나는 야전 병원 도시가 되었다. 이 도시는 전투 없이 적에게 넘겨질 예정이었다. 마지막 순간에 부상자가 헤머로 이송된 후, 도시 주변에서 며칠에 걸친 전투가 벌어졌다. 전투는 1945년 4월 11일 미국 제95보병사단이 동쪽에서 침공해 옴으로써 종결되었다. 연합군은 루르 지방을 남북에서 포위하여 "루르 포위망"을 형성하여 동쪽에서 공격을 가했다.[25]
3. 4. 전후
우나가 위치한 지역의 인류 정착 역사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 중세 시대에 우나는 헬베크의 중요한 경유지로서 그 중요성을 얻었으며, 1032년 교회 문헌에서 처음 이름이 기록되었다.[2] 1200년경, 알테나-이젠베르크 백작 프리드리히는 우나의 봉토를 쾰른 대주교 선제후국으로부터 받았다.[2] 그 후 수백 년 동안 이 도시는 여러 차례 격렬한 전투를 겪었고 여러 번 불탔다.[2] 14세기에 이 도시는 부유해져 조폐창이 설립되고 지역 무역이 번성했으며, 1952년 발굴된 70여 개의 금화는 1375년경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2]15세기 중반부터 이 도시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한자동맹의 일원이었다.[2] 1597년에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흑사병으로 사망했고,[2] 17세기 초에는 종교 전쟁으로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다.[2] 1666년에는 프로이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 19세기 초, 이 도시의 주요 특징은 농업에서 산업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2] 1870년 석탄 채굴이 시작되었고, 이에 의존하는 산업도 함께 발전했다.[2] 인구는 19세기 초 약 2,500명에서 1900년에는 15,000명으로 증가했다.[2]
19세기 초, 쾨니히스보른(당시 ''Bad Königsborn'') 지역은 광천을 갖춘 건강 휴양지로 두각을 나타냈다.[2] 2013년, 지질 조사를 통해 이 광천이 여전히 건강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45년에는 이 도시의 중요한 병영 및 기타 군사 시설에 대한 대규모 공습이 있었다.[2] 도시의 오래된 부분에는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지어진 많은 목조 건물들이 있다.[2] 우나의 경제는 19세기까지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었지만, 이후 산업화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폭격을 견뎌낸 수공예 구역은 현대적인 개발을 위해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많은 건물들이 복원되었다.[2]
1597년에는 페스트로 인해 주민의 절반 이상을 잃었다.[13] 팔십 년 전쟁 당시 1598년과 1604년에 스페인의 기사가 우나를 점령했다.[13] 1609년에 클레베 공작 요한 빌헬름의 죽음으로 마르크 백작 가문이 단절된 후, 우나를 포함한 마르크 백작령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에른스트와 팔츠 백작 볼프강 빌헬름의 소유가 되었지만, 이 동맹은 신앙의 차이로 인해 1614년에 파기되었다.[13] 우나와 그 외 클레베-마르크 영지의 도시는 1614년에 네덜란드 군에게 점령당했지만, 새로운 페스트 유행으로 네덜란드군은 1615년에 철수했다.[13] 30년 전쟁에서는 이 도시가 여러 번 포위되고, 주둔하며, 군비를 징수당하는 등 고통을 받았다.[13] 1649년 4월 4일에는 지진으로 인해 이 도시의 많은 가옥이 파괴되었다.[13] 30년 전쟁 이전 우나는 매년 4,000제국 탈러의 수입이 있었지만, 30년 전쟁 동안 모든 토지를 잃고, 30,000탈러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14]
우나는 1666년에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이 되었고, 이후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4]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년 - 1679년)에서 프랑스군의 튀렌 장군이 1673년 2월 4일 이 도시를 공격하여 220채의 가옥이 파괴되었다.[15] 1678년과 1723년에 화재가 발생했다.[16] 7년 전쟁 (1756년 - 1763년)에서 우나는 다시 전투, 숙영, 행군을 견뎌야 했다.[16] 1761년까지 전쟁 전에 비해 3배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이후 전쟁이 종결되는 1763년에는 연간 145%로 안정되었다.[18] 1719년 인구가 1,919명이었던 데 비해 1796년 인구는 2,037명으로, 18세기 전체에 걸쳐 인구 증가는 미미했다.[19] 1789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우나에도 영향을 미쳐 경제와 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쳤다.[20]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산업화와 암트(지방 행정 기관)의 소재지가 되면서 중요성을 회복했다. 1734년,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쾨니히스보른 제염소"가 설립되었다.[19] 1799년에 프로이센 서부의 주에서는 처음으로 증기 기관이 설치되어 소금물을 퍼 올리는 데 사용되었다.[19] 우나에서 카멘으로 가는 도로 확장이 1752년에 이루어졌다.[19] 1780년부터 1801년에 루르 강 상류를 선박이 항해할 수 있게 되었다.[19] 헬베크의 확장은 1817년에 이루어졌고, 1855년에 베르기슈-메르키셰 철도 노선망에 연결되었다.[19]
나폴레옹 전쟁으로 마르크 백작령이 프로이센 왕국에서 분리된 후, 우나는 1808년 1월 21일 마르크 백작령과 함께 새롭게 창설된 베르크 대공국에 편입되었고, 무니치팔리테트(지방 행정 단위)의 수부가 되었다.[19] 1809년, 세속화에 따라 우나의 카타리넨 수도원이 폐쇄되었다.[19] 나폴레옹의 실각 후 1813년에 프로이센이 다시 개입하여 처음에는 프랑스식 지방 행정 조직을 유지했지만, 1917년에 함, 페르쿰, 리넬른, 카멘, 우나, 프렌덴베르크의 자치체가 모여 함 군이 형성되었다.[19] 1831년에 개정된 도시법을 수용함으로써 1837년에 우나는 시골 마을에서 벗어났다.[19] 1844년에 암트 우나는 암트 카멘과 통합되어 암트 우나-카멘이 되었다.[19]
산업화는 마센, 빌메리히, 링게브라우크, 쾨니히스보른의 석탄 채굴이 시작되면서 1870년에 시작되었다.[19] 채굴 하청 업체, 기계 제조 및 금속 가공 공장, 벽돌 공장, 양조장이 생겨났다.[19] 1860년에 시의 가스 공장이 설립되었고, 1887년/1888년에 루르 정수장이 건설되었다.[19]
제1차 세계 대전 후, 1920년 봄에 잠시 루르 적군이 우나를 점령했다.[21] 1927년에 함 군의 군 행정 기관을 우나 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고, 1930년 새로운 군청사 완공 후에 실시되었다.[21] 1930년 10월 17일 함 군은 우나 군으로 개명되었다.[21]
나치 시대, 1934년에 우나에 친위대 퓌러슐레(학교)가 설치되었고, 그 후 곧 병영으로 개조되었다.[21] 1937년 카메너 거리에 장갑 부대를 위한 무기고가 설치되었다.[21] 이 도시에는 1933년 시점에서 156명의 유대인 커뮤니티가 있었지만, 1943년까지 이주 또는 이송되었다.[21] 우나에서 142명의 유대인이 나치의 공포 통치의 희생자가 되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 남성은 징집되었고, 프랑스인, 폴란드인, 동남유럽인, 소비에트인이 강제 노동을 강요받았다.[22] 소비에트 연방 출신의 이른바 "오스트아르바이터"가 최하층에 놓였다.[22] 그 수는 1944년에는 1,790명에 달했다.[22] 1943년 시의 행정 보고서는 체포하여 게슈타포에 인도한 "도주하여 연락이 두절된 외국인" 416명을 기술하고 있다.[22] 전쟁 말 2년 동안 우나에 여러 차례 공습이 가해졌다.[23] 최초의 대규모 공격은 1944년 9월 19일이었고, 1945년 2월 16일과 28일, 3월 5일과 23일에도 대규모 공격이 가해졌다.[23] 마지막 공습은 철도 시설과 황동 공장을 목표로 한 것으로, 단 15분 만에 113명의 사망자를 냈다.[23] 전선이 가까워지면서 우나는 야전 병원 도시가 되었다.[25] 전투는 1945년 4월 11일 미국 제95보병사단이 동쪽에서 침공해 옴으로써 종결되었다.[25]
전후 우나는 1950년 1월 1일까지 약 2,260명의 난민과 추방된 사람들을 수용했다.[26] 프로이센 왕국의 소멸 후, 우나는 1947년에 새롭게 창설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일부가 되었다.[26] 과거 SS 병영은 1956년 4월까지 벨기에 군의 병영으로 이용되었다.[26] 그 후 연방 국경 경비대 에슈베게 부대가 이곳에 입주했다.[26] 우나는 1956년에 처음으로 인구 3만 명을 넘어섰다.[26]
1960년대 루르 지방의 구조적 위기 당시 갱도 시설이 폐쇄되면서, 채광을 주된 발전은 종결되었다.[26]
4. 문화
운나는 세계 유일의 빛 예술만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전시하는 미술관인 국제 빛 예술 센터(CILA)가 위치해 있다.[3] 이 미술관은 도시 중심부에서 가까운 19세기에 지어진 붉은 벽돌 산업 건물 단지인 옛 린덴 양조장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랜드마크는 이탈리아 예술가 마리오 메르츠가 양조장의 굴뚝에 설치한 피보나치 수이다. (13세기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1996년부터 운나와 자매결연을 맺은 피사에서 살았다). 빛 예술 설치는 양조장의 옛 지하실 아치 구조물에 통합되어 있다. 옛 양조장 건물에는 시립 도서관, 성인 교육 센터(Volkshochschule), 관광 정보 센터도 자리 잡고 있다.
운나의 지역 역사 박물관인 ''헬베그 박물관''은 중세 시대 운나 성에 위치해 있다. 공예가 구역 근처의 탑을 포함하여 많은 역사적 건물과 도시 성벽의 일부가 온전한 상태로 잘 보존되어 있다. 운나는 2년에 한 번씩 이탈리아 북부에서 가장 큰 이탈리아 축제(행복하게도 ''Un(n)a Festa Italiana''라고 이름 붙여짐)를 개최하며, 이 축제 기간에는 이탈리아 바리 출신 예술가들의 빛 설치 작품으로 건물이 장식된다. 연례 크리스마스 마켓과 도시 축제는 구 시장 광장에서 시작하여 보행자 구역을 지나 시청까지 이어진다.
운나에는 많은 예술가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들의 작품 중 일부는 도시에서 공개 전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구 시장 광장에는 화가이자 조각가인 요제프 바론의 조각상이 있는데, 이것은 도시의 마스코트인 고집 센 당나귀를 끌고 가는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
전통적인 독일 음주 문화의 일반적인 부분으로서, 한때 수많은 양조장이 도시 풍경의 일부를 이루었으며, 그중 가장 크고 잘 알려진 곳은 ''린덴브라우어라이''(구 ''린덴-아들러-브라우어라이'')였다. 이곳은 ''린덴비어'' 또는 ''린덴필스''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판매했다. 대부분의 양조장은 그 이후 문을 닫았지만, 린덴브라우어라이는 21세기 초에 소규모 생산을 다시 시작했다.[4] 다른 독일 도시와 마찬가지로, 운나도 도시의 헤르팅 문 또는 '포트'의 이름을 딴 전통 약초주 '헤르팅 푀르터'를 생산한다. 이 술은 문이 있던 곳 근처에서 생산되며, 지역에서 판매된다.[5]
우나 성은 1936년부터 헬베크 박물관의 소재지이다. 케세뷔렌 지구에는 이 지역에서 만년을 보내며 활동한 화가이자 조각가인 에른스트 올덴부르크의 작품을 전시한 에른스트-올덴부르크 하우스가 있다.[37] 호르스트 헤퍼스는 쇼토쿰에서 사립 광산 박물관 "프레리헤 모르겐조네"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루르 지방 동부의 광산 역사와 20세기 전반의 갱부들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개관할 수 있다.[38]
우나 예술 협회는 1968년에 루르 지방 및 유럽 여러 나라의 예술가들의 현대 예술 전시를 시작했다.[39][40] 이 전람회는 1970년대 중반까지 이 지역의 예술계의 문화적 중심이었다.
4. 1. 빛의 예술
운나는 세계 유일의 빛 예술만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전시하는 미술관인 국제 빛 예술 센터(CILA)가 위치해 있다.[3] 이 미술관은 도시 중심부에서 가까운 19세기에 지어진 붉은 벽돌 산업 건물 단지인 옛 린덴 양조장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랜드마크는 이탈리아 예술가 마리오 메르츠가 양조장의 굴뚝에 설치한 피보나치 수이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1996년부터 운나와 자매결연을 맺은 피사에서 살았다. 빛 예술 설치는 양조장의 옛 지하실 아치 구조물에 통합되어 있다. 옛 양조장 건물에는 시립 도서관, 성인 교육 센터(Volkshochschule), 관광 정보 센터도 자리 잡고 있다.구 린덴브라우에라이(양조장) 부지에 2001년 5월 국제 빛의 예술 센터가 개관했다[41]。 우나 시에서는 2002년부터 문화 프로젝트 "헬베크 - 빛의 길"을 주최하고 있다[42]。
4. 2. 축제
운나는 세계 유일의 빛 예술만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전시하는 미술관인 국제 빛 예술 센터(CILA)가 있는 도시이다.[3] 이 미술관은 옛 린덴 양조장 건물에 있으며, 랜드마크는 마리오 메르츠가 양조장 굴뚝에 설치한 피보나치 수이다.[3] 옛 양조장 건물에는 시립 도서관, 성인 교육 센터, 관광 정보 센터도 있다.
운나의 지역 역사 박물관인 ''헬베그 박물관''은 중세 시대 운나 성에 있다. 도시 성벽 일부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구 시장 광장에는 도시의 마스코트인 당나귀를 끌고 가는 남자를 묘사한 요제프 바론의 조각상이 있다. 한때 ''린덴브라우어라이''를 포함한 수많은 양조장이 있었으나, 대부분 문을 닫았고 린덴브라우어라이는 21세기 초 소규모 생산을 재개했다.[4] 운나는 전통 약초주 '헤르팅 푀르터'를 생산한다.[5]
2년에 한 번씩 이탈리아 북부에서 가장 큰 이탈리아 축제인 ''Un(n)a Festa Italiana''가 열리고, 이탈리아 바리 출신 예술가들의 빛 설치 작품으로 건물이 장식된다.[66][67] 2001년에는 약 20만명, 2007년에는 약 25만명이 이 축제를 방문했다. 매년 9월 첫째 주말에는 슈타트페스트(시 축제)가 개최되어 다양한 음악 연주와 예술 퍼포먼스가 열린다.[68] 이외에도 1956년부터 2011년까지 매년 헬무트 셰러가 주최하는 "바이버파스트나흐트"(세계 최소의 카니발 퍼레이드)가 개최되었다.[50][51]
그 밖의 연중 행사로는 시립 헬베크 박물관, 우나 문화 협회, 필립=니콜라이=칸트라이, 우나시 음악 협회, 파레조와 우나의 주니어 콘서트, 어린이 축제,[58][59][60] 스포츠 클럽 축제, 시민 대학 영화 시리즈, "재즈 악투알" 시리즈,[62] 국제 여성 작곡가 도서관,[63] 국제 빛의 예술 센터,[41] 비엔날레 "헬베크 살인",[64] 서머타임(컬처 서머 오픈 에어) 등[65] 다양한 행사 및 전시회가 개최된다.
5. 경제
19세기 중반까지 운나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후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루르 지역 서부의 일부 공업 도시들과는 달리, 운나의 일자리는 여전히 중공업(철강 및 금속 가공, 기계 제조) 또는 수공업 기반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1972년부터 니켈 합금 생산 업체인 VDM 메탈스가 운나에서 용해 및 주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6] 또한, 자동차 문을 여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 알렉시스 치아미도 알려져 있다.[7]
최근 몇 년 동안 운나는 물류 중심지로 성장했다. 카르슈타트 백화점 체인의 이전 유통 센터는 도이체 포스트의 DHL 부서에서 인수했으며, DPD 유통 센터와 펌프 생산업체인 빌로의 중앙 유통 창고도 이곳에 위치한다. 2008년에는 DHL의 또 다른 대규모 물류 단지가 가동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우나는 주로 농업 중심 도시였다. 1828년에 맥주 양조장, 브란트바인/Branntweinde의 증류소, 도자기 공장, 벽돌 공장이 생겨나 도시의 "식품 부문"으로 불렸다.[69] 쾨니히스보른에서의 제염업도 중요했다. 산업화 초기부터 석탄 채굴을 통해 산업 도시로 전환되었다. 루르 지방의 여러 도시와는 달리, 현재도 많은 일자리가 공업(철 가공, 금속 가공, 기계 제조)이나 수공업에 있다. Zapp AG는 1991년부터 정밀 반제품을 우나에서 제조하고 있다. VDM 메탈스는 1972년부터 쾨니히스보른 지구에 니켈 합금과 특수 스테인리스강을 위한 용융 공장을 가지고 있다.[70] 이 회사는 우나에서 약 450명을 고용하고 있다. 알루미늄 공장 우나 AG는 390명을 고용하고 있다.[71] 츠아비뤼겐 주거 센터의 기업 본사와 가구점도 중요한 고용주이다. WIMA사는 우나에서 필름 콘덴서를 제조하고 있다.
유통 부문이 점차 중요해지면서 경제 중심이 되고 있다. 과거의 카르슈타트/Karstadtde 중앙 창고(현재는 DHL), 펌프 제조업체 빌로 SE/WILOde의 중앙 창고, DPDgroup/DPDgroupde의 분배 센터, 메트로 고층 창고 발레나가 이 분야의 유명한 업체이다. 대규모 DHL의 물류 복합 시설이 2008년에 업무를 시작했다.
우나시는 주민 1인당 평균 1차 소득이 우나 군에서 높은 도시 중 하나이다. 2018년 평균 가처분 소득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396개 시/군/구 중 88위에 위치해 있다.[72]
6. 교통
우나역은 하겐 - 함선, 도르트문트 - 조스트선에 위치하며, 뢴덴베르크와 멘덴을 경유하여 노이엔라데에 이르는 헤네탈 철도를 북쪽으로 연장한 종착역이다. 이 역은 더 나아가 라인-루르 S반 S4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우나 시내에는 이 외에도 조스트로 향하는 노선에는 뤼네른역과 헴멜데역이, 도르트문트로 향하는 S반에는 우나-베스트역(우나 서역), 우나-쾨니히스보른역, 마센역이 있다.
우나에는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시내를, 일부는 시 경계를 넘어 운행하고 있다.
우나에는 시내 버스망(C40 - C45)이 있다. 이들은 인근 시, 정과 연결하는 노선과 마찬가지로 우나군 교통 공동체(VKU)가 운행하고 있다[73]。
- C40: 우나역에서 남쪽 묘지
- C41: 우나역에서 도르트문트 공항
- C42: 카스타니엔호프에서 시내
- C43: 남쪽 묘지에서 그릴로 거리
- C44: 시내에서 쾨니히스보른
- C45: 시내에서 헴멜데
이 외에 VKU와 기타 회사가 인근 시, 정과 연결하는 지방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R51: 우나에서 홀츠비케데
- R54: 우나에서 마센 경유 카멘=메트라
- R81: 우나에서 카멘 및 베르크카멘 경유 베르네
- R70: 우나에서 카세뷔렌 및 프레멜른 경유 플렌덴베르크/루르
- 27: 우나에서 슈트릭헬디케, 랑셰데, 할링겐(멘덴) 경유 멘덴 (자우어란트)
고속 버스는 R81과 비슷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 S81: 우나에서 카멘 및 베르크카멘 경유 베르네
직행 버스는 2개 노선
- D45: 시내에서 동부 산업 지구
- D96: 슈베르테에서 우나, 카멘, 베르크카멘 경유 베르네 (아마존)
택시 버스 노선(수요 응답형 교통)은 우나에서는 예약이 필요하며 VKU가 운행하고 있다.
- T46: 슈타이넨(헴멜데 근교)에서 뮐하우젠
- T47: 풀 "쉐네 플뢰테"(홀츠비케데 근교)에서 마세너 하이데 경유 우나
- T48: 우나에서 아펠데
- T54: 마센에서 오버마센
게다가 수많은 스쿨 버스 노선(14개 노선, 일부는 시외 운행)과 안루프잠멜택시(AST, 수요 응답형 교통)가 있다[73]。
우나는 연방 아우토반 A1번 고속도로(쾰른 - 브레멘)와 A44번 고속도로(도르트문트 - 카셀)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아우토반 네트워크로의 접근성이 매우 좋다.
연방 도로 B1번 국도가 시내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통한다. B233번 국도는 원래 베르네에서 우나를 경유하여 이제론 방면으로 뻗어 있었다. 우나 중심부에서 카멘까지의 구간은 주도(L678번)로 등급이 낮아졌다.
==== 항공 ====
우나 서쪽에는 도르트문트 공항이 있다. 이곳에서는 특히 동유럽을 목적지로 하는 항공편이 많이 출발하고 도착한다. 또한, 사설 항공기나 개인용 비행기도 이용하고 있다.
동쪽에서의 진입로는 우나 시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활주로의 동쪽 끝은 우나-메센의 시 경계에서 불과 수백 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항공기 소음 방지 공동체가 활주로 연장 및 이착륙 시간 확대에 반대하고 있다.
6. 1. 항공
우나 서쪽에는 도르트문트 공항이 있다. 이곳에서는 특히 동유럽을 목적지로 하는 항공편이 많이 출발하고 도착한다. 또한, 사설 항공기나 개인용 비행기도 이용하고 있다.동쪽에서의 진입로는 우나 시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활주로의 동쪽 끝은 우나-메센의 시 경계에서 불과 수백 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항공기 소음 방지 공동체가 활주로 연장 및 이착륙 시간 확대에 반대하고 있다.
7. 인물
- 출신 인물
- 요하네스 폰 조스트 (1448–1506)는 중세 음악가, 음악 이론가, 시인, 작곡가였다.
- 필리프 니콜라이 (1556–1608)는 시인, 작곡가, 1596–1601년 운나의 목사였다.
- 카를 안드레아스 듀커 (1670–1752)는 언어학자, 수사학자, 역사학자,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교수 및 총장이었다.

- 헤르만 크레머/Hermann Cremerde(1834년 - 1903년)는 루터교신학자였다.

- 헤르만 오스트호프 (1847–1909)는 언어학자, 청년 문법학파의 공동 설립자였다.
- 테아 라셰 (1899–1971)는 예술가였다.
- 파울 페르호벤 (1901–1975)은 배우, 감독이었다.
- 헤르만 숌베르크 (1907–1975)는 배우였다.
- 잉게 도네프 (1918–2002)는 변호사, 정치인이었다.
- 지빌 크나우스 (1944년 출생)는 작가였다.
- 롤란트 프뢰르 (1949년 출생)는 피아니스트였다.
- 페터 F. 보에스테 (1950년 출생)는 촬영 감독, 감독, 카필라노 대학교 교수였다.
- 루디 라우어 (1950–2014)는 핸드볼 선수였다.
- 페트라 레스키 (1958년 출생)는 저널리스트, 작가였다.
- 페터 메네 (1960년 출생)는 세트 디자이너, 화가였다.
- 베른트 슈텔터 (1961년 출생)는 가수, 카바레 아티스트였다.
- 쵄케 뫼링 (1972년 출생)은 배우였다.
- 주세페 라이나 (1972년 출생)는 축구 선수였다.
- 마르코 야콥스 (1974년 출생)는 봅슬레이 선수였다.
- 사비네 하인리히 (1976년 출생)는 사회자였다.
- 크리스토퍼 하이메로트 (1981년 출생)는 축구 선수였다.
- 크리스티나 하머 (1990년 출생)는 권투 선수였다.
- 기타 관련 인물
- 같은 인물들에 대한 중복되는 내용과 인용을 제거하고, 출신 인물과 기타 관련 인물 단락으로 나누었습니다.
7. 1. 출신 인물
- 요하네스 폰 조스트 (1448–1506)는 중세 음악가, 음악 이론가, 시인, 작곡가였다.
- 요한 슈타인베르트 폰 조스트(1448년 - 1506년)는 가수, 시인이었다.
- 필리프 니콜라이 (1556–1608)는 시인, 작곡가, 1596–1601년 운나의 목사였다.
- 카를 안드레아스 듀커 (1670–1752)는 언어학자, 수사학자, 역사학자,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교수 및 총장이었다.
- 카를 안드레아스 도커(1670년 - 1752년)는 언어학자, 수사학자, 역사학자였다.
- 헤르만 크레머/Hermann Cremerde(1834년 - 1903년)는 루터교신학자였다.
- 헤르만 크레머 (1834–1903)는 신학자였다.
- 빌헬름 슈페만(1844년 - 1910년)은 출판인이었다.
- 헤르만 오스트호프 (1847–1909)는 언어학자, 청년 문법학파의 공동 설립자였다.
- 헤르만 오스트호프 (1847년 - 1909년)는 언어학자이자 청년 문법학파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
- 프리드리히 호스바흐 (1894년 - 1980년) 군인으로 최고 계급은 육군 보병 대장이었다.
- 테아 라셰/Thea Raschede(1899년 - 1971년)는 곡예 비행 파일럿이었다.
- 테아 라셰 (1899–1971)는 예술가였다.
- 파울 페르호벤/Paul Verhoevende(1901년 - 1975년)은 배우, 연출가, 작가였다.
- 파울 페르호벤 (1901–1975)은 배우, 감독이었다.
- 헤르만 숌베르크 (1907–1975)는 배우였다.
- 잉게 도네프 (1918–2002)는 변호사, 정치인이었다.
- 롤란트 프렐(1949년 - )은 피아니스트이자 음악 교육자였다.
- 롤란트 프뢰르 (1949년 출생)는 피아니스트였다.
- 루디 라우어(1950년 - 2014년)는 핸드볼 선수였다.
- 루디 라우어 (1950–2014)는 핸드볼 선수였다.
- 페터 F. 보에스테 (1950년 출생)는 촬영 감독, 감독, 카필라노 대학교 교수였다.
- 페트라 레스키/Petra Reskide(1958년 - )는 저널리스트이자 문필가였다.
- 페트라 레스키 (1958년 출생)는 저널리스트, 작가였다.
- 후베르투스 크나베(1959년 - )는 역사학자였다.
- 베른트 슈테르터(1961년 - )는 코미디언, 배우, 문필가, 가수, 텔레비전 사회자였다.
- 베른트 슈텔터 (1961년 출생)는 가수, 카바레 아티스트였다.
- 슈테판 율겐스 (1963년 - )는 배우였다.
- 프리드리케 프레스(1964년 - )는 고전 고고학자였다.
- 지빌 크나우스 (1944년 출생)는 작가였다.
- 페터 메네 (1960년 출생)는 세트 디자이너, 화가였다.
- 쵄케 뫼링/Sönke Möhringde(1972년 - )은 배우, 성우였다.
- 쵄케 뫼링 (1972년 출생)은 배우였다.
- 주세페 라이나/Giuseppe Reinade(1972년 - )는 축구 선수였다.
- 주세페 라이나 (1972년 출생)는 축구 선수였다.
- 마르코 야콥스/Marco Jakobsde(1974년 - )는 봅슬레이 선수로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4인승 금메달리스트였다.
- 마르코 야콥스 (1974년 출생)는 봅슬레이 선수였다.
- 사비네 하인리히 (1976년 출생)는 사회자였다.
- 크리스토퍼 하이메로트 (1981년 - )는 축구 선수였다.
- 크리스토퍼 하이메로트 (1981년 출생)는 축구 선수였다.
- 야니스 베커/Jannis Bäckerde(1985년 - )는 봅슬레이 선수였다.
- 루카스 리스/Lucas Lißde(1992년 - )는 자전거 경기 선수였다.
- 파스칼 슈미트/Pascal Schmidtde(1992년 - )는 축구 선수였다.
- 릭 차벨 (1993년 - )은 자전거 경기 선수였다.
- 크리스티나 하머 (1990년 출생)는 권투 선수였다.
- 라우라 노르테(1998년 - )는 봅슬레이 여자 선수였다.
7. 2. 기타 관련 인물
요하네스 폰 조스트 (1448–1506)는 중세 음악가, 음악 이론가, 시인, 작곡가였다. 필리프 니콜라이 (1556–1608)는 시인, 작곡가이자 1596–1601년 운나의 목사였다. 카를 안드레아스 듀커 (1670–1752)는 언어학자, 수사학자, 역사학자이자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교수 및 총장이었다. 헤르만 크레머 (1834–1903)는 신학자였다. 헤르만 오스트호프 (1847–1909)는 언어학자이자 청년 문법학파의 공동 설립자였다. 테아 라셰 (1899–1971)는 예술가였다. 파울 페르호벤 (1901–1975)은 배우이자 감독이었다. 헤르만 숌베르크 (1907–1975)는 배우였다. 잉게 도네프 (1918–2002)는 변호사이자 정치인이었다. 지빌 크나우스 (1944년 출생)는 작가이다. 롤란트 프뢰르 (1949년 출생)는 피아니스트이다. 페터 F. 보에스테 (1950년 출생)는 촬영 감독, 감독이자 카필라노 대학교 교수이다. 루디 라우어 (1950–2014)는 핸드볼 선수였다. 페트라 레스키 (1958년 출생)는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다. 페터 메네 (1960년 출생)는 세트 디자이너이자 화가이다. 베른트 슈텔터 (1961년 출생)는 가수이자 카바레 아티스트이다. 쵄케 뫼링 (1972년 출생)은 배우이다. 주세페 라이나 (1972년 출생)는 축구 선수이다. 마르코 야콥스 (1974년 출생)는 봅슬레이 선수이다. 사비네 하인리히 (1976년 출생)는 사회자이다. 크리스토퍼 하이메로트 (1981년 출생)는 축구 선수이다. 크리스티나 하머 (1990년 출생)는 권투 선수이다.8. 자매 도시
우나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7][8][36]
이 외에도 우나 시청은 우나에 주둔하는 독일 연방군 제7 수송 대대와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hlergebnisse in NRW Kommunalwahlen 2020
https://www.wahlerge[...]
Land Nordrhein-Westfalen
2021-06-30
[2]
서적
Johann Diederich von Steinen, Ev. Luth. Pred. zu Frömern ... Westphälische Geschichte : mit Kupfern
https://sammlungen.u[...]
Meyer
1755-08-03
[3]
웹사이트
Ruhrkunstmuseen
https://www.lichtkun[...]
2022-02-21
[4]
웹사이트
Untappd
https://untappd.com/[...]
[5]
웹사이트
Hertingpöter - der gute Likör
https://getraenke-kr[...]
2022-02-21
[6]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vdm-meta[...]
2021-08-06
[7]
웹사이트
Türöffnung
https://schluessel-d[...]
2022-02-21
[8]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unna.de/[...]
Unna
2021-08-06
[9]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0]
서적
Der Raum Unna von den Anfängen bis zur Römerzeit
https://www.academia[...]
Horschler
2021-09-18
[11]
서적
Neolithische Mahlsteine zwischen Weserbergland und dem Niederrhein
Diss
[12]
간행물
Zwischen Haarstrang und Hellweg – Eine germanische Siedlung bei Unna
https://www.academia[...]
2021-09-18
[13]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4]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5]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6]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7]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8]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19]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20]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1
[21]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2
[22]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2
[23]
뉴스
2010-03-23
[24]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2
[25]
서적
Unna. Historisches Porträt einer Stadt. Bd. 2
[26]
뉴스
Warum Unna im Zweiten Weltkrieg Glück hatte
https://www.ruhr24.d[...]
2021-09-19
[27]
서적
Die Gebietsentwicklung der Kreise und Gemeinden Westfalens 1817–1967
Aschendorff
[28]
서적
Die Gemeinden des ersten Neugliederungsprogramms in Nordrhein-Westfalen
Deutscher Gemeindeverlag
[29]
서적
Unna 1968 – Die kommunale Neugliederung der Stadt Unna und ihre Vorgeschichte
Verlag Hellweg-Bücherei
[30]
웹사이트
Ergebnisse des Zensus 2011
https://ergebnisse20[...]
2021-09-20
[31]
웹사이트
Vorschriften über den Zensus 2011 verfassungsgemäß
https://www.bundesve[...]
Bundesverfassungsgericht
2021-09-20
[32]
웹사이트
Wegweiser Kommune - Berichte
https://www.wegweise[...]
2021-09-08
[33]
웹사이트
Ratswahl - Kreisstadt Unna - am 13.09.2020
https://wahlen.unna.[...]
2021-09-20
[34]
서적
Biographisches Handbuch des deutschen Auswärtigen Dienstes 1871–1945. Band 3: L–R
Schöningh
[35]
웹사이트
Hauptsatzung der Kreisstadt Unna vom 23.November 2020
https://www.unna.de/[...]
2021-09-20
[36]
웹사이트
Unna -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unna.de/[...]
2021-09-20
[37]
웹사이트
Ernst Oldenburg Haus
http://www.kunst-und[...]
2021-09-20
[38]
뉴스
Kleinstes Bergwerk öffnet im April
https://www.derweste[...]
2021-09-20
[39]
웹사이트
Kunstcerein Unna e.V.
https://www.kunstver[...]
2020-09-20
[40]
뉴스
"Hinter die Dinge schauen" - Kunstverein Unna feiert 50 Jahre im "1968er"-Stil
https://www.lokalkom[...]
2021-09-20
[41]
웹사이트
Zentrum für Internationale Lichtkunst Unna
https://www.ruhrkuns[...]
2021-09-20
[42]
웹사이트
LICHT(KUNST)REGION EUROPAS "HELLWEG - ein LICHTWEG"
https://www.hellweg-[...]
2021-09-20
[43]
서적
Geschichte der Stadt Unna
Verlag G. Hornung
[44]
서적
Die Katharinenkirche – ein Rundgang
[45]
웹사이트
St. Katharina UNNA - Geschichte
http://www.kirche-un[...]
2021-09-20
[46]
서적
Der Kirchenbau im Erzbistum Paderborn 1930 bis 1975
Bonifatius Verlag
[47]
웹사이트
Unbekanntes über den Rahlenbeck’schen Hof Vortragsreihe der Geschichtswerkstatt
http://www.business-[...]
2021-09-22
[48]
웹사이트
Historischer Stadtrundgang 25 Klosterstraße 44
https://www.unna-mar[...]
Unna marketing
2021-09-22
[49]
문서
Fächerrosette - 半円形のロゼット文様。ドイツ北部の木組み建築の装飾に多用される。
[50]
서적
UN-glaubliche Geschichten. 66 Erzählungen aus und über Unna
[51]
뉴스
Das war der Karneval in Unna - Närrischer Höhepunkt an Weiberfastnacht
https://www.lokalkom[...]
2021-09-22
[52]
뉴스
Umfassende Bestandsaufnahme als Basis für Mobilisierung
1972-05-05
[53]
뉴스
Das kulturelle Leben in Unna maßgeblich geprägt / szene-Nr. 189
1977-12-24
[54]
뉴스
Kulturspritze für Ortsteile. Aktivierung durch Mitwirkung und Initiativen der Bürger
1972-07-14
[55]
뉴스
Kultur am runden Tisch
1973-01-10
[56]
뉴스
Beitrag der Unnaer Chöre zu einem „unna-spezifischen“ Programm beraten
1972-08-30
[57]
뉴스
Notenschränke der Chöre von alten Beständen geräumt
1972-11-13
[58]
뉴스
Malfest soll Bedürfnisse der Kleinen verdeutlichen. Bürgerschaft von morgen braucht heute Spielplätze
1972-08-18
[59]
뉴스
Toller Erfolg beim Kindermalfest auf Unnas buntbekleckstem Markt. Dem Tatendrang der Kleinen konnten auch Reporter nicht entfliehen. Aber: Vielfach Unverständnis seitens der Erwachsenen und Lehrer
1972-08-21
[60]
뉴스
Jazzmusiker Gunter Hampel denkt an Kinder-Musikfest als Pendant zum Kinder-Malfest auf dem alten Markt
1972-12-13
[61]
뉴스
Jazz soll kulturelles Angebot bereichern
1972-05-24
[62]
뉴스
„Dr. Jazz“ lobt Lübbens Serie
1972-11-15
[63]
웹사이트
Internationale Komponistinnen-Bibliothek
https://www.komponis[...]
2021-09-23
[64]
웹사이트
Mord am Hellweg
https://www.wlb.de/p[...]
Westfälisches Literaturbüro in Unna e.V.
2021-09-23
[65]
뉴스
Open-Air-Kulturprogramm - Summertime in Unna: Bereich Kultur startet Sommerprogramm
https://www.lokalkom[...]
2021-09-23
[66]
웹사이트
Un(n)a Festa Itaaliana
https://www.ruhr-tou[...]
Ruhr Tourismus
2021-09-23
[67]
웹사이트
Un(n)a Festa Italiana
https://www.unna-mar[...]
Unna marketing
2021-09-23
[68]
웹사이트
Stadtfest Unna
https://www.unna-mar[...]
Unna marketing
2021-09-23
[69]
서적
Die Staatskräfte der Preußischen Monarchie unter Friedrich Wilhelm III
[70]
웹사이트
VDM Metals
https://www.vdm-meta[...]
2021-09-23
[71]
웹사이트
ALUnna Tubes
https://www.alunnatu[...]
ALUMINIUMWERK UNNA AG
2021-09-23
[72]
웹사이트
Primäreinkommen und verfügbares Einkommen der privaten Haushalte in NRW
https://www.it.nrw/s[...]
2021-09-23
[73]
웹사이트
VKU - Liniefahrpläne
https://www.fahrtwin[...]
2021-09-23
[74]
웹사이트
Christliches Klinikum Unna - Bewegte Geschichte(n)
https://www.christli[...]
2021-09-23
[75]
웹사이트
Christliches Klinikum Unna
https://www.christli[...]
2021-09-23
[76]
뉴스
Bevölkerung der Gemeinden Nordrhein-Westfalens am 31. Dezember 2021
https://www.landesda[...]
Landesbetrieb Information und Technik NRW
2022-06-20
[77]
웹인용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unna.de/[...]
Unna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